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상영시간표  > 프로그램별 상영시간표

프로그램별 상영시간표

The Pearl Button | A film by Patricio Guzman Masterful INDIEWIRE | KINO LORBER

자개단추(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GV6 The Pearl Button / El bot?n de n?car
프로그램명
[시네마테크] 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상영일자
2017-03-07(화) ~ 2017-03-23(목)
상영관
시네마테크
작품정보
82min | D-Cinema | color | ⓔ  | France/Spain/Chile/Switzerland | 2015 |
관람료
일반 6,000원 / 유료회원, 경로, 청소년 4,000원
감독
파트리시오 구스만(Patricio Guzm?n)
배우
라울 주리타, 파트리시오 구스만
  • 칠레는 국경의 절반 이상이 태평양과 닿아 있다.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는 인류의 역사를 담고 있다. 서쪽의 태평양, 동쪽의 안데스 산맥으로 둘러싸인 칠레에는 사막, 고원, 빙하 등 태고의 비밀을 간직한 초현실적인 풍광들이 있다. 여기에 칠레의 역사가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칠레의 정치사를 다룬 다큐멘터리로 정치영화의 모범인 <칠레 전투>의 거장 파트리시오 구스만의 다큐멘터리. 천체와 인류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빛을 향한 노스탤지어>(2010)에 이어지는 작품이다. 


    * 2015년 베를린영화제 은곰상 등 2개 부문

    ⓒPyramide International(France)

  • 시간표+ 더보기
    (날짜/시간/남은좌석) Last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상영시간표
  • 감독+ 더보기
    파트리시오 구스만 이미지

    파트리시오 구스만(Patricio Guzm?n)
    파트리시오 구즈만은 칠레의 대표적인 기록영화감독이다. 구즈만은 원래 스페인에서 극영화를 전공했으나 칠레에 귀국한 후에는 기록영화작업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특히 아옌데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으로 기획된 방대한 기록영화 [칠레 전투]의 감독으로 이름이 높다. 1970년에 수립된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의 민중정부는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는 구 지배세력의 저항에 부딪쳐 많은 난관과 싸우고 있었다. 영화작가들로 구성된 소집단을 이끌며 아옌데 정권을 지원했던 구즈만은 칠레가 사회주의 국가로 바로 서기 위해 겪고 있던 위기와 극복의 순간을 필름에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구상했다. [칠레 전투: 무기없는 민중의 투쟁]이란 제목이 붙은, 총 3부로 구성된 이 4시간 30분짜리 대작은 1973년 2월부터 그해 9월 아옌데 정부가 쿠데타로 붕괴하기까지의 순간을 담고 있다. 정치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기록영화이기도 하면서 당시의 사회현실을 더할나위없이 세심하게 분석한 [칠레 전투]의 필름은 아옌데 정부가 무너지면서 구즈만과 동료들이 쿠바로 망명해 6년 여에 걸친 편집을 거쳐 완성했다. [칠레 전투]는 [부르주아지의 봉기], [쿠데타], [민중의 힘] 등 3부로 나뉘어 발표됐다. 칠레사회를 정교하게 분석한 이 영화는 기존 국가의 기구들을 그대로 놔둔 채 사회주의로 평화롭게 넘어가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계급투쟁의 원동력은 어디서 나오는지를 격동기 칠레의 한복판에서 차분히 묻는다. 역사에선 패했지만 구즈만이 이 영화에서 보여준 흔들리지 않는 의지와 성찰의 힘은 놀라운 것이다. 구즈만은 그후 [바람의 장미]라는 기록영화를 발표하기도 했으며 1980년 스페인에 이주해서 그곳에서 살고 있다. / 씨네21

  • 포토+ 더보기
    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자개단추> 스틸컷 이미지 01 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자개단추> 스틸컷 이미지 02 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자개단추> 스틸컷 이미지 03 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자개단추> 스틸컷 이미지 04 로스트 메모리즈...최신 걸작 소환전 <자개단추> 스틸컷 이미지 05
  • 동영상+ 더보기
  • 평점/리뷰+ 더보기
    • 등록
    140자 평총 1건
    • 타르코프스키적인 시각에서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과연 인간사는, 물의 이미지로 환유되는 자연사와 포개어질 수 있는 것인가? 너무 긴장한 나머지 필연과 당위를 혼동하는 마르크스의 오류로 미끄러지거나 거꾸로 패배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지 않을까? 2017-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