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MOVIE

MOA 2(무빙 온 아시아)
기획
15세
MOA 2(Moving on Asia)
- 프로그램명
- [시네마테크] 무빙 온 아시아
- 상영일자
- 2025-05-07(수) ~ 2025-05-14(수)
- 상영관
- 시네마테크
- 작품정보
- 129min | D-Cinema | color/b&w | Japan/Austrailia/Miyanmar/Mongolia/Thailand | 2024 |
- 관람료
- 무료
- 감독
- 유스케 사사키(Yusuke Sasaki), 킨 테타 라트(Khin Thethtar Latt), 다와자르갈 차시커르(Davaajargal Tsaschikher), 코라크릿 아룬나논드차이(Korakrit Arunanondcha), 헤일리 밀라 베이커(Hayley Millar Baker), 암리타 헤피(Amrita Hepi)
- 배우
주요정보
-
MOA 2
시네필리아 나우: 스크린 밖 풍경
Cinephilia Now: Offscreen Landscape
2024, 60min, DCP, color, Japan
감독_ 유스케 사사키 Yusuke Sasaki
2016년 작가가 처음으로 일본 혼슈 섬의 돗토리현(鳥取県)에서 일자리를 얻어 이사하면서 시작된 여정을 담고 있다. 도시에는 영화관이 단 하나뿐이었고, 돗토리현 전체에도 세 개밖에 없었다. 독립 영화를 제작하며 늘 매일 많은 영화를 봐야 좋은 영화를 만들고 좋은 글도 쓸 수 있다고 믿어 왔던 작가에게는 심각한 문제였다.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흔한 질문을 하기도 전에 ‘영화는 어디에 있는가? 우리는 어디로 가야 영화를 볼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게 된 것이다. 스크린을 찾아 도시 곳곳을 헤매기 시작한 작가는 직접 상영 공간을 만들며 영화를 지켜 온 지역 영화 애호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 작품은 <시네필리아 나우> 프로젝트의 첫 번째 파트인 <벽 안의 비밀들>을 약 1시간 분량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연막 속 성서: 에피소드 1 - 돌핀 하우스
Scripture for a smoke screen: Episode 1 – Dolphin House
2020, 15min, DCP, color, Austrailia
감독_ 암리타 헤피 Amrita Hepi
번잘룽(Bundjulung)과 나푸히(Ngāpuhi) 출신의 예술가 암리타 헤피(Amrita Hepi)가 1960년대에 진행된 ‘돌핀 하우스(dolphin house)’ 실험을 토대로 지능의 위계와 타자에게 지식을 강요하는 행위의 윤리를 탐구한 영상 작업이다. 이 실험은 NASA의 자금 지원 아래 과학자들이 돌고래에게 인간의 언어를 가르치려 했던 시도로, 궁극적으로는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 방법을 찾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했다.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헤피는 신작 영상과 NASA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에페메라를 엮어 이 실험의 실체를 재구성한다.
수면운동
Nyctinasty
2022, 8min, DCP, b&w, Austrailia
감독_ 헤일리 밀라 베이커 Hayley Millar Baker
낮과 밤의 빛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잎이나 꽃잎의 리듬감 있는 움직임을 형상화했으며, 이러한 생존과 자기 보존의 생명력을 물리적 세계와 영적 세계 사이의 섬세한 균형에 비유한다. 영혼이 머무르고, 정신과 육체가 삶과 죽음, 그리고 사후 세계를 엮어 내는 이 '사이의 차원'은 끊임없는 소통의 연결 고리를 드러낸다.
다시 태어나다
Reborn
2020, 12min, DCP, color, Miyanmar
감독_ 킨 테타 라트 Khin Thethtar Latt
이 퍼포먼스는 지금 이 세계에 맞서는 나만의 방식이다.
삶에는 내가 선택할 수 없는 것들이 너무도 많다.
그럼에도 우리는 주어진 것을 받아들인다.
나는 나 자신을 내 자궁에 품는다.
그리고 다시, 또 다시 태어난다.
함께 태어난 고통과 상처, 말 없는 트라우마를
그곳에 남기기 위해서.
샴발라의 꿈
Dream in Shambala
2017, 10min, DCP, color, Mongolia
감독_ 다와자르갈 차시커르 Davaajargal Tsaschikher
나는 ‘너무 많이 아는 것’에서, 넘쳐나는 환경 정보의 흐름에서, 일상 속 만연한 낭비로부터 의도적으로 거리를 둔다. 기술과 경제의 빠른 발전은 놀라움과 동시에 깊은 불안을 안겨 준다. 이처럼 격동하는 시대 속에서 나의 창작 실험은 ‘우리’의 근원적 본질을 탐색하는 여정으로 나타난다.
나는 인간의 직관과 영성이 외부 세계와 깊이 단절된 순간에 가장 선명하게 깨어난다고 느낀다. 바로 그때야말로 삶이 진정 살아 있다고 느껴진다. 내게 있어 이러한 상태는 창작의 행위, 그 과정 자체, 그리고 타인을 이 흐름에 끌어들이는 공유의 경험에서 비롯된다.
페인팅 위드 히스토리 인 어 룸 필드 위드 피플 위드 퍼니 네임즈 4
Painting with History in a Room Filled with People with Funny Names 4
2017, 24min, DCP, color, Thailand
감독_ 코라크릿 아룬나논드차이 Korakrit Arunanondcha
* 2018년 로테르담영화제 단편 부문 대상 (Winner Ammodo Tiger Short Award, IFFR 2018)
이 작품은 개인적 기억과 집단적 역사, 그리고 포스트-인터넷 시대의 정체성 탐구를 결합한 몰입형 영상 설치물이다. 코라크릿은 태국 불교 문화와 서구의 팝 문화, 정치적 이미지, 유튜브 클립, 그리고 퍼포먼스 기록을 콜라주처럼 엮어 내며, '회화(Painting)'라는 전통적 매체를 탈물질적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작가는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서사와 이미지의 흐름 속에서 구성된다.’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동시대적 혼종성과 포스트식민 맥락을 시청각적으로 탐색한다.
(자료 제공: 부산시립미술관)
-
시간표+ 더보기
상영시간표 (날짜/시간/남은좌석)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05월 07일 (수) 13:30 (137석) 05월 08일 (목) 19:30 (138석) 05월 10일 (토) 13:30 (133석) 05월 11일 (일) 19:30 (142석) 05월 14일 (수) 10:30 (136석) 감독+ 더보기
유스케 사사키(Yusuke Sasaki)
킨 테타 라트(Khin Thethtar Latt)
다와자르갈 차시커르(Davaajargal Tsaschikher)
코라크릿 아룬나논드차이(Korakrit Arunanondcha)
헤일리 밀라 베이커(Hayley Millar Baker)
암리타 헤피(Amrita Hepi)
포토+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평점/리뷰+ 더보기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