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상영시간표  > 프로그램별 상영시간표

프로그램별 상영시간표

삼등과장

(영화사랑방)삼등과장

A Petty Middle Manager
프로그램명
2025 영화사랑방ㅣ한국고전영화 정기상영회
상영일자
2025-02-03(월) ~ 2025-02-10(월)
상영관
시네마테크
작품정보
105min | DVD | b&w | Korea | 1961 |
관람료
무료
감독
이봉래(Lee Bong-rae)
배우
김승호,도금봉,황정순
  • *2월 영화사랑방 프로그래밍 : 신성은(시네마테크팀)


    *상영작: <돈>(김소동,1958) <서울의 지붕 밑>(이형표,1961) <삼등과장>(이봉래,1961) <반칙왕>(김지운,2000)




    이러지도 저러지도




     살짝 긴 거 아닌가? 싶었던 설 연휴가 끝나고 휴일 하나 없는 2025년 2월이 코앞이다. 2월 건너뛰고 삼일절 휴일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지만, 출근을 해야 퇴근을 하고 일을 해야 급여가 지급된다. 급여가 들어와야 나와 가족들은 따뜻한 일상을 영위할 수 있다. 한 달을 주기로 잠시 기뻤다가 곧 반복되는 비슷비슷한 생활에 지치고 상처받기도 한다. 2025년은 이제 막 한 달이 되었지만 우리의 일상은 이미 수천,수백 번 반복된 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고리 속에서 여전히 생각하고 꿈을 꾼다. 2월의 영화사랑방에서는 사회와 가족, 그리고 조직 속에 단단히 얽혀버린 개인들이 그 틀 속에서 꿈틀대는 모습을 담은 영화들을 소개한다.  


    김소동 감독의 <돈>에서는 1950년대 한국 사회의 단면을 발견할 수 있다. 돈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그로 인한 갈등을 현실적으로 묘사했다는 평을 받았다. 전후 복구 시기의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존과 욕망의 상징인 돈을 둘러싼 인간 관계의 변화에 주목한 작품이다.


    이형표 감독의 <서울의 지붕 밑>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갈등하는 구세대와 신세대의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영화다. 한의사 김학규와 그의 자녀들이 상징하는 세대 간의 충돌을 통해, 1960년대 한국의 전통과 현대가 겪는 갈등을 유머러스하면서도 예리하게 풀어낸다.


    <삼등과장>은 이봉래 감독의 1961년 작품으로, 1960년에 일어난 4.19 혁명 이후와 5.16 쿠데타 이전의 혼란한 상황과 사회 분위기를 배경으로, 회사 내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한 과장의 고군분투를 그렸다. 실제로 4.19 이후에 만들어져 1961년 5월 4일 당시 국도극장에서 개봉했으나 5.16으로 인해 상영이 지속되지 못했다고 한다. 


    김지운 감독의 <반칙왕>은 2000년 작품으로, 앞의 세 작품과의 시대적 거리가 상당하지만, 여전히 공통된 주제를 다룬다. 일상에 지친 평범한 은행원이 프로레슬링을 통해 삶의 활력을 찾는 과정을 그려낸 코미디로, 자신이 바라는 모습대로 살지 못하던 소시민이 속박에서 달아나려하는 모습이 다른 영화 속 주인공들과 닮아있다.


  • 시간표+ 더보기
    (날짜/시간/남은좌석) Last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상영시간표
  • 감독+ 더보기
    이봉래 감독사진

    이봉래(Lee Bong-rae)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1992년 4월 6일 함경북도 청진 생으로 일본 릿쿄 대학 문학부 시절 일본의 시 문학지 『시학』에 작품을 발표했으며(경향신문b), 귀국 후 박인환, 김규동, 조항 등과 함께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하며 모더니즘 시 운동과 문학평론을 병행했다. 1950년대 영화평론가 협회의 회원으로서 신문 지면에 영화 평론을 쓰고, 협회가 주최하는 강좌에서 '한국영화는 반논리적인가'라는 강연을 하는 등의 평론가로서 활동을 하는데(경향신문a), 당시 평론에서 지속적으로 비판하는 바는 한국영화계가 너무 익숙한 설화나 역사적 소재에만 집착하거나, 새로운 유행만을 좇음으로써 새로운 시대와 그 도덕성에 대한 풍자와 비판이 부족하다는 내용들이었다. 이렇게 평론 활동을 지속하다 1957년 장덕조의 소설 『다정도 병이련가』를 각색하며, 영화 제작 일선에 뛰어든다. 본인이 비판했던 당시 한국영화의 난점은 <삼등과장>(1961), <행주치마>(1964), <마포사는 황부자>(1965) 등 이른바 소시민 코미디 영화를 직접 감독하며 넘어서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후기작인 <장미의 성>(1969)에 이르러서는 동성애, 수간 등 파격적 소재를 통해 당시의 중산층 가정과 그 사회의 균열을 목도하기에 이른다.

  • 포토+ 더보기
  • 동영상+ 더보기
  • 평점/리뷰+ 더보기
    • 등록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