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지난프로그램  > 지난프로그램

지난프로그램

지난프로그램 리스트 입니다.

사랑방손님과어머니

(영화사랑방)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Mother And A Guest
프로그램명
2024 영화사랑방ㅣ한국고전영화 정기상영회
상영일자
2024-12-02(월) ~ 2024-12-09(월)
상영관
시네마테크
작품정보
103min | Blu-Ray | b&w | Korea | 1961 |
관람료
무료
감독
신상옥(Shin Sang Ok)
배우
최은희,전영선,김진규
  • *12월 영화사랑방 프로그래밍 : 신성은(시네마테크팀)


    *상영작: <노다지>(1961, 정창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신상옥) <초우> (1966, 정진우) <귀로>(1967, 이만희)




    한국영화와 모더니즘




     예술에서 ‘모더니즘’이란 전통적인 예술 형식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감각을 추구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영화에서의 모더니즘 또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혁명적이며 실험적인 내용이나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영화에서 모더니즘 경향은 1960년대 중후반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시기는 한국전쟁 이후 급격한 사회적 변화와 경제 성장 속에서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적 감각이 충돌하던 시기로,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영화에서도 새로운 실험과 형식을 통해 표현되었다.


    정창화 감독의 <노다지>와 신상옥 감독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는 소재와 형식 면에서 전통적인 영화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노다지>는 전통적인 드라마 서사 속에 액션, 누아르, 멜로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적 실험을 더해 현대적 문제의식을 담아냈다.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은 모더니즘 영화의 특징 중 하나인 서사의 파편화를 보여준다.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는 주요섭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봉건적 억압과 근대적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들의 내면을 섬세하게 묘사했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소재와 사회적 인식을 다루지만,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현대적인 시선으로 표출하고 드러낸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후 1960년대 중후반에 등장한 한국영화들, 특히 정진우 감독의 <초우>와 이만희 감독의 <귀로>는 당시 한국영화에서 보기 드문 감각적 연출과 주제의식을 통해 모더니즘의 특징을 드러냈다. <초우>는 시적 이미지와 철학적 메시지를 결합하여 파격적이고 모던한 영상미를 선보였다는 평가를 받았고, <귀로>는 주인공의 심리적 갈등을 화면 구성과 음향을 통해 강조하며 영화적 언어의 실험적 접근을 시도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실험적 내러티브와 독창적 시각미를 통해 한국영화 모더니즘의 정수를 보여주었다.


  • 시간표+ 더보기
    (날짜/시간/남은좌석) Last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상영시간표
  • 감독+ 더보기
    신상옥 감독사진

    신상옥(Shin Sang Ok)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1945년 귀국하여 최인규 감독의 조감독으로 영화에 입문, 1950년 신상옥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1952년 <악야>로 감독 데뷔하였다. 1961년 <성춘향>의 대성공으로 60년대 한국 최고의 감독 겸 제작자로서 위상을 확립하였다. 1978년 납북되어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1986년 탈출하여 미국과 한국에서 왕성하게 감독 생활을 계속하며 저력을 발휘하였다. 대표작으로 <로맨스 빠빠>(1960),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연산군>(1961), <열녀문>(1962), <빨간 마후라>(1964) 외 다수가 있다. 2006년 4월 11일 지병으로 타계했다.

  • 포토+ 더보기
  • 동영상+ 더보기
  • 평점/리뷰+ 더보기
    • 등록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