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상영시간표  > 프로그램별 상영시간표

프로그램별 상영시간표

디즈니가 만들지 않은 최고의 디즈니 영화!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LIFE ANIMATED 항상 소년이고 싶어요, 피터팬처럼! 2017 9월, 디즈니의 마법이 시작된다! 2017 아카데미 노미네이트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Life, Animated
프로그램명
9월 예술영화 프로그램
상영일자
2017-09-28(목) ~ 2017-10-04(수)
상영관
소극장
작품정보
92min | D-Cinema | color | USA/France | 2016 |
관람료
일반 7,000원 / 청소년 6,000원
감독
로저 로스 월리엄스(Roger Ross Williams)
배우
오웬 서스킨드, 론 서스킨드
배급사
판씨네마㈜
  • 32회 선댄스영화제 감독상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소년 ‘오웬’의 성장 스토리를 담은 영화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영화는 3살 때 말문을 닫은 자폐아 ‘오웬’이  몇 년 후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어공주를 보며 다시 말을 하기 시작한다. 용기가 필요할 땐 헤라클레스, 친구를 원할 땐 정글북, 진짜 소년이 되고 싶을 땐 피노키오. 그리고 피터팬처럼 네버랜드에서 살길 꿈꾼 러블리 디즈니 덕후 오웬은 그렇게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세상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그 사실을 안 온 가족이 ‘오웬’과 장애를 사랑과 용기로 극복하는 과정을 담아낸다.  


    [ DIRECTOR INTERVIEW ]

    Q. 영화 감독으로서 어떤 주인공들에게 끌리나요?
    A. 전 확실히 아웃사이더들의 이야기에 끌려요. 전 세상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이들에게 목소리를 주려고 노력해요. 또한 함께 살아가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해 힘쓰죠. 저 역시도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의 주인공 오웬 서스카인드처럼 어릴 때 소외감을 느꼈고, 스스로 만들어낸 세상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지냈어요. 저는 오웬과 제 영화의 주인공들이 그랬던 것처럼 더 큰 세상과 이어지기 위한 길을 찾아야만 했어요. 

    Q. 이 프로젝트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A. ABC와 PBS에서 론 서스카인드와 함께 많은 스토리들을 작업하면서 그를 15년 넘게 알고 지냈어요. 론은 퓰리처상을 받은 작가이자 그의 아들에 대한 책 [Life, Animated: A Story of Sidekicks, Heroes, and Autism]의 저자예요. 론은 집필 작업을 하며 제게 그 책에 대해 말해주었고, 저는 그것이 좋은 영화가 될 것을 알았죠. 그래서 프로듀서 줄리 골드먼과 저는 다큐멘터리 판권을 얻었고, A&E IndieFilms의 몰리 톰슨을 찾아 갔어요. 그게 2년 전이었죠.

    Q. 론의 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 책을 처음 읽었을 때 큰 감동을 받았어요. 서스카인드 가족의 믿기 힘든 사랑과 용기뿐만 아니라, 그들이 마주했던 도전들, 그것들을 극복해 나가는 모습 또한 감동적이었죠. 오웬이 디즈니의 조연들을 통해 마음속에 놀랍고 다채로운 세계를 만든 것과 론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들에게 생명을 불어 넣어준 것도 굉장히 감동적이었어요.

    Q.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자폐증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었나요?
    A. 자폐증에 대해선 거의 아는 게 없었어요.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두려움이 좀 있었다는 건 인정해요. 그들이 불편했고, 어떻게 교류해야 할지를 몰랐죠. 하지만 영화를 만들면서 자폐증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어요. 전 더 이상 자폐증을 결함이나 장애로 생각하지 않아요. 그건 그저 다름일 뿐이죠. 이 놀라운 사람들을 무시한다면 우린 진정하고 완전한 인간의 잠재력에 다가갈 수 없을 테고, 그들을 뒤로하는 건 사회로서도 손해일 거라고 확신해요.

    Q. 영화를 찍기 전에도 오웬을 알고 지냈는데, 당신의 마음속에서 그는 어떤 사람이었나요?
    A. 오웬을 처음 만난 건 그가 어릴 때 아주 잠깐이었어요. 서스카인드 가족이 대단한 가족이란 건 이미 알고 있었지만, 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땐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 알 수 없었어요. 불편함이 밀려들었지만 곧 바뀌었어요. 다큐멘터리를 만들 때의 좋은 점은 오랜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고, 저는 시간이 흐르면서 오웬을 조금씩 알아갔어요. 제 인식은 크게 바뀌었죠. 전 스토리텔러이자 몽상가예요. 

    Q. 이 프로젝트를 위해 서스카인드 가족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냈나요?
    A.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료까지 약 2년가량이요.

    Q. 영화 전체가 오웬이 독립된 성인이 되는 것에 대한 것인가요?
    A. 아니에요,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했을 땐 론의 책에 의지하려 했어요. 그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영화를 구성하려고 했죠. 하지만 편집자 데이비드 티그와 저는 드러나지 않은 다른 이야기가 있음을 깨달았어요. 책은 과거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놀라운 일들은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었죠. 오웬은 그의 인생에서 가장 과도기적인 날들을 보내고 있었어요. 대학을 졸업하고, 자신의 집을 얻고, 처음으로 사랑에 빠지기도 하면서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번쯤은 경험해 본 일들이죠. 오웬의 이야기를 그의 관점에서 이야기할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성인의 이야기로 풀어내고, 아직 펼쳐지지 않은 일들을 담아낼 엄청난 기회였던 거예요. 물론, 자폐증을 가진 이들에게는 이런 극적인 인생의 전환점들이 더 치열한 방식으로 일어나긴 해요. 하지만 이런 인생의 발전 단계의 보편성이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의 핵심입니다. 이게 제가 이 영화를 보편적인 성인의 이야기로 보는 이유예요. 

    Q. 오웬의 관점에서 봤을 때, 이야기의 아름다움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 오웬이 이야기를 해석하고 다루는 방식은 매력적이에요. 그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데 있어 영화제작자로서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묘사 장치를 만들어주었죠. 전 오웬이 미디어를 다루는 방법을 사랑하게 되었어요. 그는 평생 TV 화면을 보며 살아왔고, 지금까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왔던 모든 대사를 알고 있어요. 그 대사들을 상세하게 아는 것뿐만 아니라,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을 해석하는 데 활용해요. 특히 그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통해 모든 사람들이 나름대로 중요하다는 걸 알아내죠. 오웬은 이야기 속의 히어로들이 세상을 바꾸고, 정세를 뒤바꾸거나 잘못된 것을 바로잡을 수 있는 위대한 행동을 하지만, 오웬이 가장 동질감을 느끼는 조연들의 협력 없이는 히어로가 임무를 완수하지 못한다는 것을 지켜봐 왔죠. 오웬이 이해한 바로는 모두가 중요하고, 모두가 사건에 필요하고, 모두가 함께 이야기를 이끌어 가도록 주장할 권리가 있어요. 이것이 제가 오웬으로부터 배운 이야기의 아름다움입니다. 

    Q.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는 영상만큼이나 소리에도 공을 들였죠. 자세히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A. 영화를 보시면 다양한 디즈니 영상이 화면에 비춰질 거예요. 그리고 오웬은 모든 대사를 따라 하죠. 시각적으로 중점을 뒀던 건 오웬의 머릿속에 있는 것들을 영화로 옮겨와서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었어요. 음향에 있어선 모든 캐릭터들과 아주 다양한 목소리로 대화하는 오웬을 담아내고, 이것을 음악 언어로 변환시켰어요. 작곡가 딜란 스타크와 토드 그리핀은 VHS 테이프의 빨리감기 소리 같은 음향효과와 함께 오웬의 혼잣말을 녹음했어요. 그리고선 ‘스카이워커 사운드’의 유능한 피트 호너와 알 넬슨이 그걸 믹싱으로 만들었죠. 그래서 이 영화는 시각적인 부분만큼이나 소리의 힘이 정말 커요.

    Q. 오웬의 독특한 내적 세계에 생명을 불어넣는 또 다른 방법으로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사용하셨죠. 그 장면들은 어떻게 만들어냈나요?
    A. 오웬이 만들었어요. 어릴 때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조연들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히어로는 절대 그리지 않았죠. 오로지 조연들만 그렸어요. 그는 그것들을 가지고 <길 잃은 들러리들의 땅>이라는 이야기를 만들었는데, 그건 정말 아름다운 세계였어요. 저는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맥거프'에서 뛰어난 애니메이터 팀과 함께 오웬이 공들여 만든 환상의 세계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을 했어요. 오웬이 그의 이야기를 위해 만들어낸 악당은 자신이 마주했던 도전들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였어요. 악당의 힘이 사람의 마음을 흐리거나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점에서 그의 자폐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죠. 오웬은 어쩌면 이 이야기를 만들면서 자서전, 자신의 이야기를 썼던 것일지도 몰라요. 그래서 저는 그걸 스크린에 살아 움직이게 하고 싶었어요.

    Q. <길 잃은 들러리들의 땅>의 애니메이션 버전을 보고 오웬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
    A. 오웬은 감정을 표현하는 데 거침없죠. 그가 처음 애니메이션 버전을 봤을 때, 그는 펄쩍펄쩍 뛰면서 저희를 껴안았어요. 오웬은 보통 가족 외의 사람들과는 신체 접촉을 피하는데, 그가 얼마나 이 애니메이션을 사랑하는지 참을 수가 없었던 거죠. 그런 오웬을 보는 건 정말 놀라운 경험이었어요.

    Q. 이번 프로젝트에서 디즈니와 함께 일하는 건 어땠나요? 애니메이션 시퀀스 허가에 있어서, 디즈니는 얼마나 협조적이었나요? 이 영화에 아주 중요한 부분이었을 텐데요.
    A. 제작 초반엔 디즈니와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게 중요했어요. 프로듀서 줄리 골드먼과 저는 제작 전반에 걸쳐 그 관계를 맺고 유지했죠. 저희는 디즈니로부터 영상 사용을 허락받았고, 그들은 영화의 내용에 대해 소유권이나 편집권을 전혀 갖고 있지 않아요. 제 생각엔 디즈니의 임원들이 제 비전을 마음에 들어 해서 우리의 길을 방해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 같아요.

    Q. 영화의 명대사 중 “인생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아니다”라는 대사가 있죠.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에서 이 대사가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A. 오웬의 이야기를 통해 배운 것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넘어서서 연애를 포함한 진짜 자신의 인생과 마주하는 것이었어요. 디즈니 캐릭터들은 섹스를 하지 않지만 실제 세상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죠. 오웬은 독립을 향해 나가면서 수많은 과제들을 마주하게 되는데, 디즈니에서 배운 교훈으로만 모든 해답을 찾을 순 없어요.

    Q.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을 보면서 오웬이 즐거운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으셨죠. 그의 즐거움은 어디서 오는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A. 전 분명 그의 가족이라고 봐요. 특히 그의 어머니 코넬리아요. 그녀는 보수적인 의학 전문가들의 말을 듣길 거부했어요. 그들 중 몇 명이 오웬을 가장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그의 접근을 제한하라고 조언했거든요. 코넬리아는 그것이 오웬의 발전을 제한하는 것이란 걸 알고 있었어요. 하지만 오웬의 부모님은 과잉보호로 오웬을 키우려 하지 않고 그가 발전하기 위해 세상에 대한 솔직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어요. 필요한 것들을 제공해주면서요. 오웬의 가족에게는 따뜻한 사랑이 있었고, 오웬이 그토록 행복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그 사랑에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이에요.

    Q. 오웬은 지금 그의 인생의 어디쯤 와 있나요? 좋은 시기인가요?
    A. 제 생각엔 그런 것 같아요. 오웬은 우리 모두가 겪는 어른의 관문 앞에서 싸우고 있어요. 확실히 그에게는 더욱 힘든 일이긴 해요. 오웬은 여전히 전 여자친구와의 이별로 정말 힘들어하고 있어요. 하지만 가족들의 따뜻한 응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극복해낼 거예요. 앞으로도 이런 고난들을 헤쳐나가야만 할 것이고, 가족들이 할 수 있는 건 오웬의 곁에서 함께 있어주는 일이죠. 이별과 좌절, 실망은 어떤 면에서는 유익하죠. 오웬은 예상보다 잘 대처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는 항상 도전하고 싶어하고, 험난한 시작 이후엔 인생을 즐기는 법도 배울 거라 생각해요. 

  • 시간표+ 더보기
    (날짜/시간/남은좌석) Last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상영시간표
  • 감독+ 더보기
    로저 로스 월리엄스 감독 사진

    로저 로스 월리엄스(Roger Ross Williams)
    1973년 출생. 뉴욕대에서 수학 후 다양한 TV 다큐멘터리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연출하였다. 2010년 그의 단편 다큐멘터리 [뮤직 바이 프루든스 Music by Prudence ]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수상을 이루어낸다. 2013년 [갓 러브스 우간다]로 달라스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고, 선댄스영화제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오른다.

  • 포토+ 더보기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스틸컷_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스틸컷_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스틸컷_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스틸컷_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스틸컷_
  • 동영상+ 더보기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메인 예고

    메인예고

  • 평점/리뷰+ 더보기
    • 등록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