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지난프로그램  > 지난프로그램

지난프로그램

지난프로그램 리스트 입니다.

거미 여인의 키스 포스터 이미지

거미 여인의 키스

GV6 Kiss of the Spider Woman
프로그램명
[시네마테크] 오래된 극장 2015
상영일자
2015-12-17(목) ~ 2016-01-10(일)
상영관
시네마테크
작품정보
120min | Beta | color | Brazil/USA | 1985 |
관람료
일반 6,000원 / 유료회원, 경로, 청소년 4,000원
감독
헥터 바벤코(Hector Babenco)
배우
윌리엄 허트, 라울 줄리아, 소냐 브라가
  • 루이즈와 발렌틴은 감방 동료다. 발렌틴은 혁명운동에 가담한 정치범이고, 동성애자인 루이즈는 소년과 성관계를 맺었다가 체포되었다. 감상적인 루이즈는 전쟁을 배경으로 한 비극적 로맨스를 다룬 나치 선전영화의 이야기를 끊임없이 발렌틴에게 들려준다. 루이즈는 발렌틴의 망가진 몸과 마음의 상처를 보듬어주려 하고, 적대감을 보이던 발렌틴도 서서히 루이즈에게 마음을 연다. 브라질의 시네마 노보를 주도했던 헥터 바벤코가 정치와 동성애 문제에 대담하게 접근한 작품으로, 라틴아메리카를 대표하는 아르헨티나 작가 마누엘 푸이그의 동명소설을 영화화했다. 시스템 밖으로 내쳐질 수밖에 없는 사회 소수자인 루이즈와 발렌틴은 억압과 폭력 앞에서 서로를 연민하고 사랑하게 된다. 윌리엄 허트가 절절한 연기로 표현한 루이즈는 어느 영화의 여주인공보다 더 진실되고 아름다운 사랑을 하는 ‘여성’으로 각인된다.


    * 1985 칸영화제 남우주연상, 1986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 시간표+ 더보기
    (날짜/시간/남은좌석) Last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상영시간표
  • 감독+ 더보기
    헥터 바벤코 감독사진

    헥터 바벤코(Hector Babenco)
    미국과 브라질을 오가며 비상업적이며 논쟁적인 영화를 만들어온 특이한 인물인 헥터 바벤코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청소년 시절 비트 문학과 실존 철학에 관심을 가진 그는 이후 그는 1960년대 7년간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를 여행하며 세일즈맨을 하기도 했고 로마에서 엑스트라를 하는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하게 된다. 1971년 브라질로 이주를 한 헥토르 바벤코는 당시 유행하던 '시네마 누보'의 영향을 받게 되고, 다큐멘터리와 단편영화와 광고 쪽에서 경력을 쌓은 후, 매춘부의 사랑에 대한 한 부르주아 남자의 위선적 행동에 관한 영화 <밤의 제왕 King of the Night>(1975)으로 데뷔하게 된다. 소외와 아웃사이더는 바벤코 영화의 중심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루치오 플라비오 Lucio Flavio>(1978)의 영웅은 악당이고(브라질에서 네번째로 높은 수입을 올려 쇠락해가던 브라질 영화산업 부흥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피쇼테 Pixote>(1981)에서 갱단 깡패는 소년원을 탈출하고 마약을 팔고, 훔치고, 포주질하고, 살인하면서 살아간다. <거미여인의 키스 The Kiss of the Spiderwoman>(1985)에서 두 감방 친구는 정치범이며 동성애자고, <아이언위드 Ironweed>(1988)의 낭만적인 연인은 거리의 부랑자이다. 바벤코의 아웃사이더들이 겪는 소외는 단순히 정신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인 소외의 결과이다. 중간계급이 만들어놓은 도덕적 표준에 의해 그의 캐릭터들은 왜곡되고 어두워진다. 바벤코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된 계기는 <피쇼테>로, 집 없이 떠도는 거리의 아이들의 비참한 생활을 다룬 영화인데 그들의 현실을 즉석에서 담아낸, 다큐멘터리로 시작했다가 당국자가 청소년 수용소를 찍는 것을 불허하자 극영화로 바뀐 영화였다. 당시 300만의 아이들이 집 없이 떠돌았다고 한다. 이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은 아르헨티나의 7,80년대 대표적 저항가였던 마뉴엘 픠그의 희극을 영화화한 <거미여인의 키스 The Kiss of the Spiderwoman>(1985)로 다시 한번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그의 명성을 다지게 된다. 형무소에 수감된 두 죄수를 통해 성 정체성과 혁명이라는 문제의식을 다룬 수작이다. 바벤코의 캐릭터들은 환상으로만 물질 세계를 탈출할 수 있다. 루치오 플라비오가 처음 여자친구의 살인자에 대해 꿈을 꾸고 나중에 영화 결말에선 그 자신이 살인자가 되는 것처럼 때때로 꿈 시퀀스는 정말 악몽이 된다. <피쇼테>에서 아이들은 서로 부자가 되고 차를 소유하고 해변에 살겠다는 희망을 얘기하지만 우리에게 보여진 꿈 시퀀스는 차의 불빛을 피해 탈출하려 밤새 벗은 채로 달리는 피쇼테의 악몽이다. <거미여인의 키스>의 핵심은 환상이다. 그것은 몰리나와 발렌틴의 삶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 바벤코는 이러한 상상과 현실 사이에 커다란 구별을 두지 않는다. 꿈은 삶을 구성하는 삶의 부분이다. 꿈이나 환상의 요소들 속에서 바벤코는 리얼리즘에 관한 다양한 시도를 한다. 바벤코는 2003년 남미 최대의 감옥 카란디루에서 일어난 폭동을 다룬 영화 <카란디루>에서 여전히 그만의 색깔인 범죄와 퀴어의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평론가들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피쇼테>와 같은 초기작에서 보여준 사회의식에서는 멀어졌다는 평가 또한 받는 영화다. (씨네21 영화감독사전)

  • 포토+ 더보기
    거미 여인의 키스 스틸컷 이미지 01 거미 여인의 키스 스틸컷 이미지 02 거미 여인의 키스 스틸컷 이미지 03 거미 여인의 키스 스틸컷 이미지 04 거미 여인의 키스 스틸컷 이미지 05
  • 동영상+ 더보기
  • 평점/리뷰+ 더보기
    • 등록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