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MOVIE

주요정보
-
불 Fire
(Korea / 2013 / Fiction / 17‘)시놉시스
불빛이라고는 사라진 캄캄한 세상, 힘겹게 불을 구한 남자가 자신의 무리로 복귀하고 있다.
Synopsis
Light was gone, a man with a fire and return to his flock.연출의도
불을 갖고자 하는 끝없는 욕망
Director’s Statement
Endless desire to have a fire리뷰 _ 강소원
횃불을 든 남자가 칠흑같이 어둡고 사막처럼 텅 빈 공간을 나아가고 있다. 그는 지금 바람과 비를 피해가며 횃불을 조심스레 운반하는 중이다. 드디어 가족과 생존자 무리와 합류하여 횃불이 모닥불로 커졌을 때 저 어둠 속에서 적들이 승냥이처럼 사납게 달려든다. 결국 지구는 종말을 맞이한 걸까? 언어조차 잃어버린 인간들이 태양도 사라진 땅에서 적들과 싸울 때 저 멀리 버섯구름이 피어나 그들의 세상을 처음으로 환하게 밝힌다. 한마디의 대사도 없이 어둡고 텅 빈 공간에서 진행되는 이 미니멀한 세기말 판타지는 최소의 것으로 최대를 창조해냈다.
Review _ KANG So-won
A man with a torch is walking through the pitch dark and desolate space. He is now carefully carrying the torch against the wind and rain. Finally, when he meets his family and other survivors, the torch becomes a bonfire and the enemies from the dark attack them wildly like coyotes. Is that the end of the Earth? As Human beings who lost their language fight with enemies on the ground where the sun disappears, mushroom cloud rises to the sky and brightens up their world. Without a line from this movie, this minimal fantasy film in the dark and empty space creates the maximum results with the minimum.
감독소개
홍성훈
한국영화아카데미 22기
2002 <흙에서 흙으로> 연출
2003 <쓴맛> 연출
2004 <마녀> 연출
2005 <귓속말> 연출
2007 <만남> 연출
2008 <아들의 여자> 연출
Korea Academy of Film Arts (KAFA) 22
STAFF & CAST
Director : 홍성훈 HONG Sung-hoon
Cinematographer : 김형주 KIM Hyung-Ju
Music : 전유진 JUN Yu-jin
Art director : 박민정 PARK Min-jung
Editor : 이상민 LEE Sang-min
Cast : 박준혁 PARK Jun-hyuk, 황두하 HWANG Du-ha나쁜 꿈 A Bad Dream
(Korea / 2013 / Fiction / 15‘ 25“)시놉시스
진과 권은 어딘가 불온한 남매다. 그들의 승합차가 멈추는 길마다 사연 모를 사람들이 하나씩 차에 오른다. 진과 권은 이들과 함께 밀항을 하려 한다.
Synopsis
Jin and Kwon are rebellious brother and sister. Wherever their van stops people who have their own story get into the van. Jin and Kwon attempt to smuggle themselves with these people.연출의도
여기를 버리고 어디로든 떠나고 싶은 마음일 때가 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다시 여기서, 조금만 덜 비겁하게 살아보자는 다짐을 해본다.
Director’s Statement
Sometimes I want to leave here for somewhere else. Yet again I decide to live one step less cowardly here.리뷰 _ 박인호
이 영화는 죽음일 수도 있고 도피일 수도 있는 떠남에 대해 말하는 동시에 남는 자를 바라보고 있다. 밀항을 위한 것인지, 자살을 위한 것인지 분명치 않은 사람들이 자동차에 올라타고 이들은 바닷가에 도착한다. 좀처럼 보기 힘든 야광오징어, 난생 처음 본 바다의 넓음, 영정 사진 정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이들의 기묘한 현실을 핸드헬드 카메라가 뒤따르면서 지켜본다. 비밀로 가득한 서사와 불안하게 흔들리는 관계는 현실 안에 숨어 있는 초현실의 지점들을 드러내고 마지막 장면, 카메라가 멈춰 선 지점에 이르면 나쁜 꿈일 수도, 좋은 꿈일 수도 있는 간밤의 시간 또한 정지된다.
Review _ PARK In-ho
This film is talking about departure that might be death or escape and also looking at the people left behind. People get into a car for smuggling or suiciding and then they arrive at a beach. A handheld camera follows behind them and watches their odd behaviors having rare luminous squids, watching vast sea for the first time, and carrying their own portrait. Description full of mysteries and relationship nervously shaking show a surreal point hidden in reality. At the final scene, the point where the camera stops, the night time which could be a bad dream and a good dream also stops.
감독소개
지태경 JI Tae-kyoung
2009 <11월> 연출
2010 <무덤가> 연출
2012 <튜닝> 연출
STAFF & CAST
Director : 지태경 JI Tae-kyoung
Cinematographer : 성민철 SUNG Min-chul
Gaffer : 이용우 LEE Young-yoo
Sound : 안용해 AHN Yong-hae
Music : 코스모스 사운드 Cosmos Sound
Editor : 지태경 JI Tae-kyoung
Cast : 허유진 HUH Yu-jin, 문성권 MOON Sung-kwon소년 Boy
(The Netherlands / 2012 / Fiction / 48’)시놉시스
<소년>은 사회 속 보이지 않는 구성원, 불법 이민노동자인 필리핀 청소부를 조명해보는 이야기이다. 그는 이름이 없다. 그는 보이는 곳과 보이지 않는 곳 사이, 에로틱 댄서인 남자친구와 함께하는 삶과 가족 내에서 돈을 빌려주는 역할 사이의 경계지대에 산다. 이러한 상황은 남자친구가 댄스회사에 오디션을 보고, 그의 회사 사람이 자살하는 사건과 함께 변화한다. 그는 소외감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이 소외감은 점점 증가하고 그 때 한 매력적인 사진작가가 그에게 관심을 갖는다. 사진작가는 그가 자신의 사진 시리즈물의 모델이 되어주길 바란다. <소년>은 타인의 그림자 속에서 하지만 또한 사랑 속에서 살아가는 삶에 대한 영화이다.
Synopsis
/boy>is a story that zooms in on an invisible member of society, an illegal Filipino cleaner. He has no name. He lives between seen and not seen, between his life with his boyfriend, an erotic dancer, and his role as lender of his family home. This will change when his boyfriend can audition for a dance company and one of his employer commits suicide. He begins to feel alienated. This alienation increases when a charming photographer becomes interested in him and wants him as a model for a photo series. Boy is a film about living in the shadow of the other, in society, but also in love. 연출의도
삶을 뛰어넘을 수 있는 권한 없이 두 가지 세계에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소년>을 통해서 말하고 싶다. 이것은 하나의 사회에서 존재할 권리는 없이 수행해야 할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어떤 느낌인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당신이라면 과연 꿈을 가질 수 있을까?
Director’s Statement
With/boy>, I want to tell what it means to live in two worlds, and not have the power to transcend that life. It’s a story about resilience, about how it feels to not have a right to exist in a society, but do have a function in it. Can you afford to dream than? 리뷰 _ 최용석
타국에 사는 이주노동자의 삶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에서 이방인이라는 배타적인 시선을 통한 근원적인 소수자의 한계를 지니게 될 것이다. 그 소수자가 동시에 동성애자라면 우리는 매우 비극적인 삶의 한 단면을 상상할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그러한 시선과는 별개로 자신이 속한 삶에 있어서 부단한 긍정도 지나친 부정에 삶을 살아가지 않는다. 단지 그는 사랑하는 사람과 자신의 일을 묵묵히 인정하며 부딪히며 살아갈 뿐이다. 영화는 한 이주노동자의 시선을 통해 그들이 속한 공간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바라보며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세심히 조심스레 바라본다. 그 시선의 힘은 그들의 삶을 존중하고 어루만지는 감독의 연출력을 통해 크나큰 울림으로 우리에게 전달된다.
Review _ CHOI Yong-seok
The life of immigrant workers who are living in foreign countries would have fundamental limits of minorities through the exclusive eyes telling they are aliens in society. If that minorities were homosexuals at the same time, we would imagine quite a tragic life. In this movie, however, the main character, apart from those eyes, lives not with excessive negativity nor constant positivity within the community. He just makes a living accepting his loved one and his own work. Through the eyes of an immigrant worker, this movie carefully and cautiously pictures the life of minorities who live on looking at their own presence in the space they belong to. The power of such eyes gets across to us with great reverberation through the directing power which respects and touches their lives gently.감독소개
타미 라비드 Tami Ravid
타미 라비드(1976년 11월 4일생, 이스라엘, 예루살렘)는 여섯 살 이후 네덜란드에서 살고 있다. 1998년 다큐멘터리 연구자 겸 프로듀서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네덜란드 전국방송과 지역방송에서 경험을 쌓은 후 네덜란드 영화학교에서 연출과정을 공부했고 2004년 7월 두 개의 졸업 작품을 완성했다. 다큐멘터리/leny>단편극영화 /baby>이다. 졸업 후, 단편영화 /samual>과 많은 단편 다큐멘터리, 그리고 단편극 <소년>을 만들었다. 현재는 장편영화 시나리오와 다큐멘터리 /mitrovica>를 작업 중이다.
Roze Filmdagen 영화제(네덜란드)
Tami Ravid(November 4th 1976, Jerusalem, Israel) has been living in Holland since her sixth birthday. She started working as a documentary researcher/producer in 1998. After several jobs at the national and local Dutch television she started a directing course at the Dutch Film academy, which she completed in July 2004 with two final projects: the documentary/leny>and the short fiction film /baby>. After graduation, she has completed the short fiction /samual>, many short documentaries and the single play /boy>. She is currently developing a feature film script and a feature documentary, /mitrovica>.
Roze Filmdagen Film Festival(the Netherlands)STAFF & CAST
Director : 타미 라비드 Tami Ravid
Producer : Floor Onrust
Screenplay : Cecilie Levy
Cinematographer : Melle van Essen
Gaffer : Sigrid Tijssen
Sound : Ferry de Pater
Music : Harry de Wit
Art director : Mares Thomassen
Editor : Dorith Vinken
Cast : Gerald Gonzales, Arvin Quirante, Rene van Zinnicq Bergmann, Bart Klever -
시간표+ 더보기
상영시간표 (날짜/시간/남은좌석)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감독+ 더보기
포토+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평점/리뷰+ 더보기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