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영화와 비평  > 영화평론가 비평

영화평론가 비평

오디오 해설 영화관



영화에 대한 전문적 식견과 통찰력, 다양한 관점이 돋보이는
'영화평론가' 차별화된 평론을 만나는 공간입니다.
감독과 영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론글은
여러분을 새로운 영화 세상으로 안내할 것입니다.
매월 개봉하는 대중영화와 한국독립영화를 바탕으로 게시되며,
영화글을 통해 들여다본 새로운 영화세상으로 떠나보세요!

'차이'를 즐길수록 빠져들게 되는 영화 <영웅>2023-01-02
영웅 스틸

 

 

차이를 즐길수록 빠져들게 되는 영화 <영웅>

 

 

영웅 포스터 1

 

 

송영애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지난 1221일에 개봉 한 윤제균 감독의 영화 <영웅>이 개봉 8일째 1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사실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다룬 <영웅>은 오랫동안 여러 기대를 받아왔다. 2020년 개봉을 목표로 201912월에 촬영이 끝났지만, 코로나19 상황에 개봉이 미루어지면서 기대는 궁금증으로 이어졌다.

 

기대나 기준에 따라 평가는 갈릴 수밖에 없는데, 진지하면서 웃기고, 낯설면서 익숙한 이 영화 속 차이, 즉 소위 말하는 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한다. <영웅>에 더 빠져들 수 있는 관람 팁 소개기도 하다.

 

- 천만 영화감독의 새 영화

 

<영웅>을 연출한 윤제균 감독은 전작 <국제시장>(2014)<해운대>(2009)로 천만 관객의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영웅>을 보다 보면, <국제시장><해운대>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윤제균 감독만의 스타일에 익숙하다면, <영웅> 역시 편안하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종일관 진지하기만 하지 않고, 코믹한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CG가 활용된 일상의 스펙터클도 볼 수 있다. 자연재해, 과거의 모습을 그려내기 위해 활용됐던 CG는 이번에도 역사 현장의 재현, 전투와 추격 장면 등에 쉽게 몰입하게 한다.

 

신파적 특징 역시 어김없이 등장하는데, 조국, 가족, 동지에 대한 걱정과 사랑이라는 감정은 노래와 함께 증폭되어 눈물 폭탄을 투하한다. 수많은 이들의 희생이 처절하게 펼쳐지는데, 숙연함마저 느끼게 된다.

 

- 진지함과 코믹함

 

<영웅>19091026일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 의사의 의거 전후 2년가량의 기간을 담아냈다. 모두가 아는 인물과 역사적 거사다 보니, 무게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 <영웅>은 그 무게감을 코믹함으로 좀 덜어내는데, 진지한 장면과 코믹한 장면의 차이가 꽤 큰 편이다. 그래서 누군가는 거북할 수 있지만, 오히려 감동의 폭이 깊어질 수도 있다.

 

영화 상영 시간 내내, 거사를 준비하는 독립투사의 모습과 번민만 목격하는 대신, 사이사이 음식을 두고 싸우는 모습과 서툰 연애 감정도 엿보게 된다. 우스꽝스럽기도 한 평범한 그들의 모습 덕에, 그들의 영웅성은 배가된다. 그들도 평범한 인간이었다는 걸 알기에 그들의 희생에 더더욱 숙연해질 수 있다.

 

- ‘국내 최초의 오리지널 뮤지컬’, 낯섦과 익숙함

 

영화 <영웅>은 뮤지컬 <영웅>을 원작으로 한다. 1966년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가 초연된 이후, 국내에서 뮤지컬 공연 분야는 꾸준히 확대되어 왔다. 최근 10여 년은 확대 속도가 좀 더 빨랐는데, 그중 안중근 의사 의거 100주년을 기념하며 기획된 창작뮤지컬 <영웅>은 현재까지도 꾸준히 재연되고 있고, 영화화되기에 이른 것이다.

 

아이러브마마 포스터

 

  ( 출처 :  <아이 러브 마마> 신문 광고 1975. 05. 15. 조선일보 4면)

 

 

그동안 한국영화 중 뮤지컬(요소가 가미된) 영화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69년 권철휘 감독의 <오부자>, 1973년 김응천 감독의 <천사의 메아리>, 1975년 신상옥 감독의 <아이 러브 마마> 등을 비롯해 2006년 이재용 감독의 <다세포 소녀>, 이형곤 감독의 <구미호 가족>, 전계수 감독의 <삼거리 극장>, 그리고 20229월에 개봉한 최국희 감독의 <인생은 아름다워> 까지 꼽을 수 있는 영화는 좀 된다.

 

다만, SF영화 못지않게 한국영화로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진 뮤지컬영화가 늘 용감한 시도에 대한 평가를 받았으나, 흥행 성공으로 대중의 긍정 평가까지 받아낸 경우는 없었다. 그래서 <영웅>에 대한 관객의 평가가 궁금해진다. 할리우드 실사 영화나 애니메이션 영화로 뮤지컬 영화를 볼 때와 달리, 한국 뮤지컬영화를 볼 때 느껴지는 낯섦이 과연 익숙함으로 변하게 될지 말이다.

 

배우들의 새로운 모습도 매력적이다. 안중근(정상화), 설희(김고은), 조마리아(나문희), 우덕순(조재윤), 조도선(배정남), 유동하(이현우), 마진주(박진주) 등의 등장인물 중 설희와 마진주는 가상의 인물이다. 실존 인물 중에도 안중근 의사 이외에는 낯선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들을 연기하는 배우들은 낯익은 배우들이다. 그들의 뮤지컬 연기, 노래를 보며, 이전 연기와 비교하는 즐거움이 크다. 뮤지컬 공연을 본 관객이라면 공연과 영화의 차이도 느껴질 것이다.

 

영웅 포스터 2

 

- 과거와 현재

 

그리고 무엇보다 <영웅>을 보며 비교하게 되는 것은 바로 과거와 현재다. 영화 내내 인물들이 처절하게 부르는 노래를 통해 묻는 말은 현재에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돌고 돈다는 말이 새삼스럽기도 하다.

 

과연 누가 죄인인가?” 그리고 조국이 대체 우리에게 무엇인가?”

 

<영웅>은 결론을 알고 보는 영화다. 안중근 의사의 의거는 성공하지만,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거라는 것, 그리고 사형 집행 후 몇 달이 지나면 소위 한일합병조약이 체결될 거라는 것을 말이다. 2022년 현재까지 일본의 사죄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걸 알기에, <영웅>을 통해 보는 역사가 과거의 일로만 느껴지지 않는다.

 

영화와 음악, 영웅과 소시민, 그리고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영화 <영웅>을 통해, 낯설지만 익숙한 감정과 생각에 빠져보기를 바란다.

다음글 영화 <시간을 꿈꾸는 소녀>가 편견을 깨는 방식
이전글 'Why so blue?', <아바타: 물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