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MOVIE
영화와 인문학
김경욱의 영화사회학
영화사에서 기획과 시나리오 컨설팅을 했고,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영화평론가로 글을 쓰면서 대학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르몽드디플로마티크』에 「김경욱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2002), 『나쁜 세상의 영화사회학』(2012), 『한국영화는 무엇을 보는가』(2016), 『영화와 함께 한 시간』(2022) 등이 있다.
송아름의 지금까지, 앞으로도
국문과에서 극을 전공했고 연극·영화·TV드라마에 대한 논문과 관련 글을 쓰며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영화사에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살피고 있으며, 꾸준히 사적 맥락 안에서 영화와 영화 문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지훈의 시네필로
매월 개봉작들을 독특하고 풍성한 인문학적 시각으로 이야기 나누는 프로그램입니다.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영화에 대한 수많은 담론을 제시하며 재밌고 유익하게 영화를 보는 새로운 시선을 가져보세요.
-
<수영장으로 간 남자들> - ‘세상은 됐고, 나를 바꾼다’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7-16
-
<아녜스가 말하는 바르다> - '존재의 미학'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6-11
-
<서스페리아> - '그림자를 마주하다'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5-16
-
<더 캡틴> - '스무 살 청년, 누가 죽였나'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4-18
-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 - '신화적 언어와 사랑'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3-07
-
<그때 그들> - 진실과 허무를 감추는 미소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2-21
-
<가버나움> - '너희가 돌이켜 어린아이와 같이'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9-01-17
-
<더 파티> : 새로운 Party가 필요한 EU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8-12-13
-
<산책하는 침략자> : 망각의 인류학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8-08-16
-
<어느 가족>-‘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8-07-20
-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 ‘바르다의 '영화쓰기'(cinecriture)를 읽는 몇 가지 관점'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8-06-14
-
<버닝> - ‘하루키에서 포크너로: 퇴행인가, 재장전인가'
이지훈 필로아트랩 대표
2018-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