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현재상영프로그램  > 현재상영프로그램

현재상영프로그램

현재상영프로그램 리스트 입니다.

우리가 만난 그 가을을 기억해요 <만추 리마스터링>

(리플레이)만추 리마스터링

Late Autum
프로그램명
2023 씨네 리플레이
상영일자
2023-11-21(화) ~ 2023-12-31(일)
상영관
시네마테크
작품정보
113min | D-Cinema | color | 한국, 미국, 홍콩 | 2011 |
관람료
일반 8,000원, 청소년 7,000원, 조조 5,000원
감독
김태용(Kim Tae-yong)
배우
현빈, 탕웨이
배급사
(주) 에이썸픽쳐스
  • 수인번호 2537번 애나. 7년 째 수감 중, 어머니의 부고로 3일 간의 휴가가 허락된다. 장례식에 가기 위해 탄 시애틀 행 버스, 쫓기듯 차에 탄 훈이 차비를 빌린다. 사랑이 필요한 여자들에게 에스코트 서비스를 하는 그는, 누군가로부터 도망치는 중이다.


    “나랑 만나서 즐겁지 않은 손님은 처음이니까, 할인해 줄게요. 오늘 하루.”

    훈은 돈을 갚고 찾아가겠다며 억지로 시계를 채워주지만 애나는 무뚝뚝하게 돌아선다. 7년 만에 만난 가족도 시애틀의 거리도, 자기만 빼 놓고 모든 것이 변해 버린 것 같아 낯설기만 한 애나. 돌아가 버릴까? 발길을 돌린 터미널에서 훈을 다시 만난다. 그리고 장난처럼 시작된 둘의 하루. 시애틀을 잘 아는 척 안내하는 훈과 함께, 애나는 처음으로 편안함을 느낀다.


    “2537번, 지금 돌아가는 길입니다…”

    이름도 몰랐던 애나와 훈. 호기심이던 훈의 눈빛이 진지해지고 표정 없던 애나의 얼굴에 희미한 미소가 떠오를 때쯤, 누군가 훈을 찾아 오고 애나가 돌아가야 할 시간도 다가오는데...



    [ About movie ]

    3일의 짧은 만남, 그러나 평생 잊을 수 없을 사랑. 특별한 로맨스 <만추>

    국적도, 미국에 온 이유도, 살아 온 배경까지. 모든 것이 다른 애나와 훈은 시애틀 행 버스에서 처음 만나지만 애나는 훈에게 무표정하고 반응 없는 중국 여자, 애나에게 훈은 귀찮게 말을 거는 실없는 한국 남자일 뿐이다. 허나 7년 만에 만난 가족들 틈에서 더 외로워진 그녀와 고객 사정으로 시간이 빈 그가 우연히 함께 보내게 된 하루. 애나는 겨우 이름만 알게 된 훈에게서 가족도 주지 못 한 편안함을 느낀다. 그리고 못 알아들으면서도 귀 기울여 들어주는 그 덕에 처음으로 자신의 과거와 상처를 똑바로 바라보고 털어 낼 용기를 낸다. 훈과의 하루로 인해 인생을 다시 살아갈 힘을 얻게 된 것 같은 애나. <만추>는 찰나의 기억이 평생 이어질 수도 있음을, 하루에 불과했더라도 그 사랑을 만나기 전과 후, 인생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기다림은 끝났다! 불멸의 연인, 탕웨이. 그녀와의 강렬한 재회!

    출연 소식만으로 영화가 보고 싶어지게 만드는 배우가 몇 명이나 있을까? 탕웨이는 그 이름 석자로 <만추>를 손꼽아 기다리게 만들었다. 센세이션 그 자체였던 데뷔작 <색, 계>를 기억하고 있는 관객들에게 3년간 이어진, 긴 기다림의 마침표 <만추>는 여러모로 반갑다. 격동의 시대, 범상치 않은 운명 속으로 온 몸을 던져 걸어 들어갔던 첫 영화 <색, 계>. 그리고 여배우 탕웨이의 두 번째 선택 <만추>는 더 깊게 삶과 사랑을 바라본다. 감옥으로 돌아가야 할 시한은 3일. 이 또한 시작이 남다른 사랑 속의 탕웨이는 표정의 높낮이와 미세한 떨림만으로도 감정의 스펙터클이 뭔지 보여준다. 원치 않던 누군가가 자신의 삶으로 들어오려 할 때 쳐내는 무심함과 차가움에서, 사랑이라 믿은 순간 끌어안는 열정까지. <만추>의 탕웨이는 정중동의 드라마틱이다. 더 성숙해진 탕웨이가 만들어낸 또 한 명의 연인 ‘애나’가 던지는 공감과 울림, 그것만으로도 <만추>는 잊을 수 없는 기억이다.


    사랑스러운 남자에서 사랑을 하는 남자로. 트렌드에서 배우로. 현빈의 재발견!

    까도남. 까칠하고 도도한 혹은 까칠한 도시 남자. 신종어를 유행시킨 <시크릿 가든>까지. 현빈은 늘 언니들의 로망, 사랑하고 싶은 남자의 대명사였다. 미남이되 상대를 압도하지 않고, 동경의 대상이지만 말을 걸어도 될 것 같은 친근한 아이콘. 그가 만들어 낸 트렌드는 그 만의 영역이다. 하지만, 상대 여배우의 눈을 통해 보지 않은 현빈을 기억하기도 쉽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현빈이 연기한 <만추> 속 훈은 우리가 늘 보아왔지만 제대로 알지 못했던 현빈을 배우로 다시 만나는 재발견이라 할 만하다. 미국에 온 지 2년, 겨우 입에 붙기 시작한 서툰 영어로는, 사랑 밖에 팔 것이 없는 남자 훈. 교포 누님들을 상대하는 그는, 습관처럼 호기심으로 찔러 본 낯선 여자 애나에게 처음으로 진짜 사랑을 느낀다. 어제 처음 만난 애나의 상처를 어루만져주기 위해 몸싸움도 마다하지 않는 훈, 현빈이 보여주는 감정과 행동은 적극적이고 입체적이다. <만추> 속 웃음과 사건의 발생도 그의 몫이다. 스스로 사랑을 찾고 지켜주려는 남자로 다가서는, 깊어진 그를 지켜보는 것은 <만추>를 보는 가장 큰 즐거움 중 하나다.



    한국 영화의 클래식 <만추>, 김태용 감독을 만나다

    지금은 프린트가 유실된, 1966년 이만희 감독의 <만추>는 한국 영화 사상 최고걸작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총 네 번에 걸쳐 만들어졌다. 1972년 그 해의 베스트 5에 랭크 된 일본 영화 <약속>을 필두로, 1975년 시대를 앞서 간 독보적인 스타일리스트 김기영 감독에 의해 <육체의 약속>으로, 1981년 문예영화의 거장 김수용 감독에 의해 다시 <만추>로 만들어졌다. 한국 영화사를 대표하는 감독들을 매혹시킨 <만추>의 스토리와 캐릭터는 같은 이야기에서 시작했다는 걸 믿기 어려울 정도의 색깔 강한 영화들로 재탄생,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어 관객의 사랑을 받았다. <만추>의 연인들 또한 스타성과 연기력을 겸비한 배우들이었다. 문정숙-신성일, 김지미-이정길, 김혜자-정동환. 그리고 2011년 김태용 감독의 <만추>는 현빈과 탕웨이를 기용, 둘 다에게 이국의 공간인 시애틀을 배경으로 짧지만 평생 잊을 수 없을 강렬한 사랑을 선보인다. 인물의 진심에 눈이 먼저 가게 하고, 일상이 판타지로 도약하는 눈부신 순간들을 통해 사람들에 대해, 관계에 대해서 희망을 보여줬던 김태용 감독. 그의 <만추>는 안개 자욱한 시애틀 거리 속 조금씩 가까워지는 두 남녀와 함께, <만추>의 타이틀 아래 만들어졌던 전작들과는 또 다른, 잊을 수 없는 사랑을 약속한다.


    또 하나의 주인공 시애틀, 비와 안개로 <만추>의 가을을 완성하다

    3일의 시간을 가진 여자가 낯선 남자와 하루를 보내면서 다시 사랑에 마음을 열게 되는 곳. 함께 하는 시간이 짧기에 더 밀도 높은 감정으로 채워져야 하는 만큼, 둘이 어디를 같이 가고 무엇을 같이 보느냐 하는 것은 영화 <만추>에서 또 하나의 주인공이라 할 만큼 중요하다. 인물의 상황 상, 가을의 쓸쓸함이 배어 나오되, 하루를 다채롭게 채워줄 풍경을 갖춘 도시. 뉴욕의 분주함과도 LA의 화려함과도 다르게, 고즈넉한 시애틀의 거리거리는, 처음 만난 애나와 훈이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쓸쓸하면서도 때로는 로맨틱하게 둘의 감정에 굴곡을 만들어준다. 언제 비가 올 지 모르고 늘 짙게 깔려있는 안개로 유명한 시애틀의 날씨는, 감정을 갖는 게 사치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 애나를 닮았다. 그렇기 때문에 두 사람이 함께 타는 Duck Bus의 가이드가 하는 말은 의미심장하다. “이 맘 때 시애틀은 늘 안개가 많고 비가 오는데, 지금은 해가 났네요. 햇빛을 즐기세요. 안개가 다시 끼기 전에. 인생에서 좋은 시절은 후딱 갑니다. 즐기세요. 마음을 열고 지금 사랑하자구요!” 안개가 짙기에 햇빛이 더 소중하듯, 애나와 훈이 함께 보낸 그 가을의 하루도 잡지 않으면 안 될, 놓칠 수 없는 사랑으로 다가온다. 둘이 함께 거니는 시애틀의 곳곳, 자욱한 안개 속으로 떠 오르는, 시장통의 좁은 골목길과 그리스 레스토랑, 문 닫은 놀이공원들의 풍경은 두 사람의 만남의 의미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또 하나의 주인공이다.


  • 시간표+ 더보기
    (날짜/시간/남은좌석) Last은 마지막 상영시간입니다.
    상영시간표
  • 감독+ 더보기
    김태용

    김태용(Kim Tae-yong)
    1969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고 한국영화아카데미 13기를 마쳤다. 독립프로덕션 서울텔레콤에서 PD로 일하며 연출실전을 다졌다. 그는 1994년 16mm 실험영화 <무제>를 만든 것을 시발로 하여 1996년 역시 16mm 단편영화 <해남 임장춘>과 <골목길 풍경>을 만들었고, 이듬해 1997년 16mm 단편영화 <동방견문록>을 만드는 등 꾸준하게 연출작업을 해왔다.아카데미 졸업 후 동료 감독인 민규동과 함께 데뷔작인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를 만들었다. 평단의 호평은 끌어냈으나 전작인 박기형 감독의 <여고괴담>에는 훨씬 못 미치는 흥행성적에 머물렀다. 김태용 민규동 감독의 공동 연출작인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에는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 (Memento Mori)’라는 뜻의 부제가 달려있다. 언뜻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 말라’는 주문처럼 들리는 이 말은 영화를 이끌어 가는 핵심 화두(話頭)가 된다. 영화는 우정을 넘어 동성애로까지 발전한 효신과 시은의 관계를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두 번째 괴담(怪談)이 첫 번째 괴담과 결정적으로 갈라서는 지점은 전작이 학교라는 공적 영역을 다루었다면, 이번 영화에서는 여고생들의 사적 영역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은 2000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고, 2001년 홍콩퀴어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상영되기도 했다. 김태용 감독은 16mm 단편영화 <열일곱>(1997년)과 <창백한 푸른 점>(1998년)에서도 민규동 감독과 공동연출을 했다. 일찍부터 호흡을 맞춘 김태용과 민규동 두 감독은 국내 최초로 장편영화 공동연출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출처 : 한국영화감독사전

  • 포토+ 더보기
    <만추 리마스터링> 스틸사진 1 <만추 리마스터링> 스틸사진 2 <만추 리마스터링> 스틸사진 3 <만추 리마스터링> 스틸사진 4 <만추 리마스터링> 스틸사진 5
  • 동영상+ 더보기
  • 평점/리뷰+ 더보기
    • 등록
    140자 평총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