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MOVIE
영화와 인문학
김경욱의 영화사회학
영화사에서 기획과 시나리오 컨설팅을 했고,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영화평론가로 글을 쓰면서 대학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르몽드디플로마티크』에 「김경욱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2002), 『나쁜 세상의 영화사회학』(2012), 『한국영화는 무엇을 보는가』(2016), 『영화와 함께 한 시간』(2022) 등이 있다.
송아름의 지금까지, 앞으로도
국문과에서 극을 전공했고 연극·영화·TV드라마에 대한 논문과 관련 글을 쓰며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영화사에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살피고 있으며, 꾸준히 사적 맥락 안에서 영화와 영화 문화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지훈의 시네필로
매월 개봉작들을 독특하고 풍성한 인문학적 시각으로 이야기 나누는 프로그램입니다.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영화에 대한 수많은 담론을 제시하며 재밌고 유익하게 영화를 보는 새로운 시선을 가져보세요.
-
<울지 않는 아이> 혹은, 울지 못하는 아이
김경욱 영화평론가
2025-04-22
-
왜곡된 존재 증명의 섬뜩한 결과 - 영화 <침범>이 날 세워 그린 순간들
송아름 영화평론가
2025-04-18
-
희미함을 끈질기게 붙드는 이들에게 찬사를 - <여성국극 끊어질듯 이어지고 사라질듯 영원하다>
송아름 영화평론가
2025-03-31
-
<컴플리트 언노운>, 살아있는 전설의 시작
김경욱 영화평론가
2025-03-25
-
그때의 경험으로 지금의 나를 빚는다 - 1980년대의 파편들과 <정돌이>
송아름 영화평론가
2025-02-25
-
<고양이키스: 당신에게 마음을 여는 순간>, 행복이 시작되는 순간
김경욱 영화평론가
2025-02-19
-
<은빛살구>, ‘돈’에 얽힌 뱀파이어 가족
김경욱 영화평론가
2025-01-24
-
나의 선택을 고통으로 남기지 않기 위한 여정 - <면접교섭>
송아름 영화평론가
2025-01-10
-
<언니 유정> 혹은, 엄마 유정
김경욱 영화평론가
2024-12-23
-
‘너’를 이용하여 ‘나’를 탈출하려는 이들의 지옥도 - 영화 <원정빌라>
송아름 영화평론가
2024-12-20
-
집 한 채를 지어가는 사람들에 대하여 - 영화 <한 채>
송아름 영화평론가
2024-12-02
-
‘네 가지 색’ <미망>
김경욱 영화평론가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