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알림마당  > 공지사항

공지사항

[공지] [영화] 추천작 가이드 - 개관기념 영화제 2011-11-09
첨부파일
“영화의 숲을 거니는 일곱 취향의 오솔길


 

- 영화의전당, ‘가족영화’ ‘추억의 명화’ 등 관객을 위한 추천작 선정
 
‘불멸의 영화들’로 늦가을의 부산을 다시금 영화의 물결로 가득 채울 ‘영화의전당 개관기념 영화제’가 관객을 위해 추천작을 선정했다. 11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 52일에 걸쳐 총 8개 섹션 222편이 상영되는 이번 영화제는 그 규모만큼이나 영화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걸작들로 가득 차, 관객으로 하여금 어떤 영화를 선택해야 할지 행복한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이에 ‘영화의전당’ 측은 다양한 취향의 관객들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영화를 골라볼 수 있도록 일곱 분류의 추천작 가이드를 내놓았다.
 
I. 온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가족 영화’
먼저, 부산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른 ‘영화의전당’을 가족과 함께 찾을 수 있는 ‘가족 영화’ 추천작이 있다. 무성 코미디영화의 거장 ‘찰리 채플린’의 단편 <모험>과 <방랑자>는 100년 전에 만들어진 영화란 걸 믿을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완성도와 함께 때 묻지 않은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다. 어린 토토와 늙은 영사기사 알프레도의 평생에 걸친 사랑과 우정을 그린 <시네마 천국>은 가족 관객에게 진정한 ‘영화 천국’을 경험케 할 것이다.
 
II. 늦가을의 감성을 적셔줄 ‘추억의 명화’
우리 가슴 한 켠에 남아 있을 그리운 옛 추억을 다시 떠올릴 수 있는 아련한 감동의 영화도 모았다. ‘추억의 명화’ 추천작에는 데이비드 린 감독이 유리 지바고의 삶과 사랑을 낭만적이면서도 비극적으로 그려낸 <닥터 지바고>, 말론 브란도와 알 파치노의 위대한 서사시 <대부 1, 2>, 더스틴 호프만과 스티브 맥퀸의 명연기를 통해 자유를 향한 갈망이 간절히 묻어나는 <빠삐용> 등 영화와 벗하며 살아온 사람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 불후의 명작 23편이 리스트에 올라 있다.
 
III. 열광적 숭배자를 거느린 ‘우리 시대의 컬트영화’
독특한 감성의 소수가 열광하며 반복적으로 보는 영화가 컬트영화이다. 이번 영화제에는 우리 시대의 컬트영화라 불릴만한 영화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배우 이나영이 추천한 스웨덴 영화 <렛 미 인>은 잔혹한 뱀파이어 이야기에 브뤼겔의 회화와도 같은 간결하면서도 빼어난 영상미, 그리고 가슴 아픈 로맨스를 결합해 한국의 젊은 관객을 사로잡은 21세기의 컬트영화라 할 수 있다. 소년의 육체로 영면한 배우 리버 피닉스의 뼈저린 자화상과도 같은 <아이다호>도 열렬한 지지자를 거느린 또 다른 컬트영화. 외로운 젊음의 몽환적이며 시적 표현에 관한 한 경쟁자가 드문 <아비정전> <가위손> <천국보다 낯선> 역시 만들어진 지 20여 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많은 영화애호가들에 의해 ‘내 인생의 영화’로 꼽히고 있다. 이외에도 <바그다드 카페> <쳐다보지 마라> 등의 수작들이 그로테스크하거나 기이한 감수성으로 그 숭배자들을 스크린의 제단으로 이끌고 있다.
 
IV. 영화광에게 축복과 같은 선물 ‘국내 최초 상영’
이번 상영작 중 영화광들이 가장 주목하는 작품은 국내에서 최초로 상영되는 작품일 것이다. ‘영화의전당 개관기념 영화제’에서는 프랑스 인상주의 영화를 대표하는 마르셀 레르비에 감독의 첫 영화 <프랑스의 장미>를 비롯해 ‘벅스 버니’와 ‘대피 덕’ 등의 캐릭터를 창조한 애니메이션의 선구자 텍스 에이버리의 단편 6편, 한스 위르겐 지버베르크 감독의 상영시간 7시간이 넘는 대작 <히틀러>, 서부극의 거장 존 포드의 숨겨진 걸작 <도망자> 등 25편이 국내 첫선을 보인다. 이러한 미지의 영화들은 영화광으로 하여금 새로운 발견의 기쁨을 안겨주는 도전적인 명단이 될 것이다.
 
V. 더욱 생생한 화질로 만나는 고전들의 ‘완전판 / 복원판’
오래된 걸작을 새로 복원된 버전으로 만나는 설렘 역시 이번 영화제가 주는 선물 중의 하나이다. 먼저, 영화 교과서에 중요하게 언급되는 조르주 멜리에스의 1902년 작 <달세계 여행>은 110년의 세월을 넘어 2011년 복원판으로 상영된다. 올해 칸 영화제 개막식의 오프닝 영화로 처음 상영된 버전이다. ‘키노-아이’ 이론을 탄생시킨 지가 베르토프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 역시 올해 네덜란드에서 복원한 것이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케스> <연연풍진> 등도 더욱 깨끗한 화질과 음향으로 만날 수 있는 디지털 복원판이다.
 
VI. 마음을 울리는 선율로 기억되는 ‘영화 음악의 명작’
(1)영화음악의 신, 엔니오 모리코네의 작품들
영화가 음악으로 기억된다면 그 중 태반은 엔니오 모리코네의 음악일 것이다. <시네마천국>의 ‘Love Theme’과 ‘Cinema Paradiso’는 설사 그 영화를 보지 못한 관객이라도 알 수밖에 없는 영화음악의 영원한 명곡이다. 예능프로그램 <남자의 자격>에서 합창 미션곡으로 등장해 전국민을 사로잡은 ‘넬라 판타지아’는 <미션>의 주제음악 ‘Gabriel’s Oboe’이며 모리코네의 걸작 가운데 하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의 ‘Debra’s Theme’은 그 선율을 듣는 순간 어린 시절을 영원히 잃어버린 남자들의 비애가 사무쳐오는 걸출한 작품이다. <옛날 옛적 서부에서>를 본 사람이라면 영화 초반부에 흘러나오는 저 쓸쓸하고 애절한 선율의 ‘Man with a Harmonica’를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흘러나오는 <1900년>의 ‘Romanzo’, 우수와 서정의 명곡인 <천국의 나날들>의 주제음악도 아름다운 영상미와 함께 우리의 귓가를 맴도는 천상의 멜로디들이다.
 
(2) 또 다른 걸작 영화음악들
영화음악의 명곡들은 눈은 잊어도 귀는 그 영화를 기억하도록 해준다. <빠삐용>이 영원한 추억의 명화라면 한국에서 번안가요로까지 소개된 제리 골드스미스의 너무나 유명한 주제곡 ‘Free as the Wind’ 덕일 가능성이 크다. <피아노>에서 홀리 헌터가 해변에 홀로 버려진 피아노를 젖은 눈으로 바라보며 언덕을 넘을 때 울려나오는 마이클 니만의 그 격정적이고도 처연한 피아노 선율이 아니었다면 이 영화가 그토록 사랑을 받았을까. 니노 로타의 의심할 수 없는 최고작인 <대부>의 주제곡, <닥터 지바고>의 ‘라라의 테마’(모리스 자르 작곡)도 영화음악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걸작들이다. 밥 딜런의 ‘Knocking on Heaven’s Door’가 은은하게 울려퍼지는 <관계의 종말>, 마마스 앤 파파스의 ‘California Dreaming’이 강렬하게 감싸는 <중경삼림> 역시 음악으로 더욱 오래 기억되는 명작들이다. 베토벤의 ‘전원교향곡’을 비롯한 절정의 클래식과 아름다운 영상이 한 몸이 된 전설의 애니메이션 <판타지아>, 프랑스의 테크노그룹 ‘다프트 펑크’의 앨범 하나가 통째로 담긴 애니메이션 <인터스텔라 5555> 역시 음악과 도저히 떼놓고 말할 수 없는 화제작이다.
 
VII. 긴 상영시간 만큼 커지는 감흥 ‘초장편 영화’ 추천작
일반 극장에서 쉽게 만날 수 없는 초 장편 영화 상영에 대한 요청은 시네마테크를 향한 많은 관객의 바람이었다. 그런 관객의 요청에 보답하고자 어느 영화제에서도 볼 수 없었던 초 장편 영화를 대거 편성했다. 상영시간 200분이 넘는 영화가 총 13편이다. 8시간(480분)의 상영시간을 가진 필리핀 영화 <멜랑콜리아>, 7시간 30분(450분)으로 많은 평단의 극찬을 받은 <사탄 탱고>와 더불어 고바야시 마사키 감독의 6부작 <인간의 조건>은 총 상영시간 579분(9시간 39분)에 이른다. 한편,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00년 312분 완전판>과 예전 ‘시네마테크 부산’ 시절 연속 매진을 기록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229분) 등 긴 상영시간에도 불구하고 한순간도 긴장의 고삐를 늦출 수 없는 작품들도 가득하다.
 
이 밖에도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감독상, 심사위원대상 등을 받은 역대 수상작들도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영화제 상영작과 공연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영화의전당 홈페이지(www.dureraum.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예매 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문의 051-780-6000, 6058
 

[영화의전당 개관기념 영화제 – 분류별 추천작]

 

- 가족 영화, 추억의 영화 등 총 7개 주제에 따른 관람 가이드

 

. 가족 영화 (13) ※ 괄호 안은 감독명

1.<방랑자>(찰리 채플린)

2.<모험>(찰리 채플린)

3.<손님 접대법>(버스터 키튼)

4.<필라델피아 이야기>(조지 큐커)

5.<판타지아>(제임스 알가 외)

6.<가위손>(팀 버튼)

7.<시네마 천국>(주세페 토르네노레)

8.<어느 날 밤에 생긴 일>(프랭크 카프라)

9.<시티라이트>(찰리 채플린)

10.<인생은 아름다워>(로베르토 베니니)

11.<퍼니페이스>(스탠리 도넨)

12.<임금님과 앵무새>(폴 그리모)

13.<작은 여우>(아틸라 다르거이)

 

. 추억의 명화 (23)

1.<오명>(알프레드 히치콕)

2.<밴드 왜건>(빈센트 미넬리)

3.<천국이 허락한 모든 것>(더글라스 서크)

4.<빠삐용>(프랭클린 J. 샤프너)

5.<로마의 휴일>(윌리엄 와일러)

6.<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빌리 와일더)

7.<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롭 라이너)

8.<바람에 쓴 편지>(더글라스 서크)

9.<대부 1,2>(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10.<욕망이란 이름의 전차>(엘리야 카잔)

11.<아가씨와 건달들>(조셉 L. 멘케비츠)

12.<현기증>(알프레드 히치콕)

13.<피아노>(제인 캠피온)

14.<우리 생애 최고의 해>(윌리엄 와일러)

15.<십계>(세실 B. 드밀)

16.<아라비아의 로렌스>(데이비드 린)

17.<대탈주>(존 스터지스)

18.<닥터 지바고>(데이비드 린)

19.<옛날 옛적 서부에서>(세르지오 레오네)

20.<미션>(롤랑 조페)

21.<서울의 지붕 밑>(이형표)

22.<구봉서의 벼락부자>(김수용)

 

. 우리 시대의 컬트 영화 (10)

1. <렛 미 인>(토마스 알프레드슨, 2008)

2. < THX 1138 >(조지 루카스, 1971)

3.<아이다호>(구스 반 산트, 1991)

4.<천국보다 낯선>(짐 자무쉬, 1984)

5.<쳐다보지 마라>(니콜라스 뢰그, 1973)

6.<가위손>(팀 버튼, 1990)

7.<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스탠리 큐브릭, 1968)

8.<바그다드 카페>(퍼시 애들론, 1987)

9.<관계의 종말>(샘 페킨파, 1973)

10.<아비정전>(왕가위, 1990)

 

. 국내 최초 상영 (25)

1.<프랑스의 장미>(마르셀 레르비에)

2.<유령마차>(빅터 쇠스트롬)

3.<버라이어티>(앙드레 뒤퐁)

4.<여행으로의 초대>(제르맹 뒬락)

5.<마지막 밤>(유리 라이즈만)

6.<드루피>(텍스 에이버리)

7.<누가 누구를 죽였는가?>(텍스 에이버리)

8.<늑대와 신데렐라>(텍스 에이버리)

9.<거대한 카나리아>(텍스 에이버리)

10.<불운의 검은 고양이>(텍스 에이버리)

11.<촌뜨기 빨간 망토>(텍스 에이버리)

12.<무지개>(마르크 돈스코이)

13.<마리아 칸델라리아>(에밀리오 페르난데스)

14.<도망자>(존 포드)

15.<아이언 게이트>(유세프 사힌)

16.<스콜피오 라이징>(케네스 앵거)

17.<흑인소녀>(우스만 셈벤)

18.<나는 행복한 집시들을 만났다>(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

19.<무법자 조시 웨일즈>(클린트 이스트우드)

20.<히틀러>(한스 위르게 지버베르크)

21.<비올란타>(다니엘 슈미트)

22.<아흐메드 왕자의 모험>(로테 하이니거)

23.<전염병 개>(마틴 로즌)

24.<에스더>(아모스 기타이)

25.<작은 여우>(아틸라 다르거이)

 

. 완전판 / 복원판/ 감독판 (13)

1.<달세계 여행>(조르주 멜리에스, 2011 복원판 / 1902)

2.<메트로폴리스>(프리츠 랑, 2010 완전복원판 / 1927)

3.<카메라를 든 사나이>(지가 베르토프, 2011 복원판 / 1929)

4.<1900>(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312분 완전판)

5.<어느 날 밤에 생긴 일>(프랭크 카프라, 디지털복원판)

6.<컨버세이션>(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복원판)

7.<무법자 조시 웨일즈>(클린트 이스트우드, 디지털복원판)

8.<대탈주>(존 스터지스, 디지털복원판)

9.<연연풍진>(허우 샤오시엔, 디지털복원판)

10.<스탠 바이 미>(롭 라이너, 디지털복원판)

11.<바람이 불 때>(지미 T. 무라카미, 디지털복원판)

12.<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스탠리 큐브릭, 디지털복원판)

13.<케스>(켄 로치, 디지털복원판)

 

. 영화 음악의 명작 (14)

[1] ‘엔니오 모리코네’의 작품들

1. <시네마 천국>

- 한국 관객이 뽑은 엔니오 모리코네 최고의 영화음악 ‘Love Theme’ ‘Cinema Paradiso

2. <미션>

- 잘 알려진 ‘넬라 판타지아’의 오리지날곡 ‘Gabriels Oboe

3.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 영화팬들의 뇌리에 오래 기억되고 있는 ‘Deborahs Theme, Cockeyes Song’ 등

4. <옛날 옛적 서부에서>

- 아련함과 쓸쓸함, 그리고 비장미가 느껴지는 ‘메인 테마’와 ‘Man with a harmonica’ 등

5. <1900>

-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풍광 속에 묻어나는 서정적 음악 ‘Romanzo

6. <천국의 나날들>

- 은은한 떨림 속에 우수에 가득 찬 모리코네의 멜로디

 

[2] 또다른 걸작 영화음악

1. <판타지아>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가 지휘한 베토벤 ‘전원 교향곡’ 등 클래식 8

2. <인터스텔라 5555>

- 프랑스의 유명 테크노 그룹 ‘다프트 펑크’ 2집 ‘디스커버리’ 전곡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3. <빠삐용>

- 제리 골드스미스의 애절한 주제가 ‘Free as the Wind

4. <피아노>

- 마이클 니만의 OST The Heart Asks Pleasure First

5. <대부>

- 니노 로타의 주옥 같은 명곡 ‘Love Theme from the Godfather, The Godfather Waltz

6. <중경삼림>

- 늦가을에 더욱 떠오르는 ‘마마스 앤 파파스’의 ‘캘리포니아 드림’

7. <닥터 지바고>

- 감미로운 멜로디가 사랑스러운 ‘라라의 테마’(모리스 자르 작곡)

8. <관계의 종말>

- 영화에 출연하기도 한 ‘밥 딜런’의 주제가 ‘Knocking on the Heavens Door

 

. 초장편 영화 (13, 러닝타임 200분 초과 영화)

1.<인간의 조건>(고바야시 마사키, 579)

2.<멜랑콜리아>(라브 디아즈, 480)

3.<사탄 탱고>(벨라 타르, 450)

4.<히틀러>(한스 위르게 지버베르크, 429)

5. <뱀파이어>(루이 푀이야드, 386)

6.<1900>(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312)

7.<영화사>(장 뤽 고다르, 268)

8.<불타는 시간의 연대기>(페르난도 E. 솔라타스 외, 260)

9.<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세르지오 레오네, 229)

10.<천국의 문>(마이클 치미노, 225)

11.<십계>(세실 B. 드밀, 220)

12.<아라비아의 로렌스>(데이비드 린, 216)

13.<지옥의 묵시록 리덕스>(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202)

 

기타 . 칸영화제 역대 수상작

[1] 황금종려상 (11)

1.1946<마리아 칸델라리아>(에밀리오 페르난데스, 1944)

2.1961<비리디아나>(루이스 브뉘엘, 1961)

3.1974<컨버세이션>(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1974)

4.1979<지옥의 묵시록>(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1979)

5.1986<미션>(롤랑 조페, 1986)

6.1993<피아노>(제인 캠피온, 1993)

7.2002<피아니스트>(로만 폴란스키, 2002)

8.2003<엘리펀트>(구스 반 산트, 2003)

9.2006<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켄 로치, 2006)

10.2008<클래스>(로랑 캉테, 2008)

11.2009<하얀 리본>(미카엘 하네케, 2009)

 

[2] 감독상 (4)

1.1959<400번의 구타>(프랑소와 트뤼포, 1959)

2.1979<천국의 나날들>(테렌스 맬릭, 1978)

3.2001<멀홀랜드 드라이브>(데이비드 린치, 2001)

4.2002<엘리펀트>(구스 반 산트, 2003)

 

[3] 심사위원대상 (3)

1.1989<시네마 천국>(주세페 토르네토레, 1988)

2.1998<인생은 아름다워>(로베르토 베니니, 1997)

3.2001<피아니스트>(로만 폴란스키, 2002)

다음글 [영화] 필름 상태 및 무성영화 러닝타임 안내
이전글 공연 안내원 추가 채용 최종 합격자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