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알림마당  > 언론보도

언론보도

성난 젊은이들의 날카로운 외침 2022-11-07
첨부파일

114()부터 키친 싱크대의 시대, 영국 뉴웨이브개최

대표작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부터 <네이키드>까지 총 20편 상영

 

 키친 싱크대의 시대... 포스터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에서는 114()부터 126()까지 키친(부엌)’이라는 일상의 단조로운 공간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영국 사회의 본질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영국 영화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 주었던 시기를 되돌아보는 키친 싱크대의 시대, 영국 뉴웨이브를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키친 싱크 리얼리즘의 전성기인 1950년에서 1960년대 전반기 작품을 중심으로 당대 영국 사회 문제를 대담하게 포착한 주옥같은 걸작들을 만날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키친 싱크대의 시작, 영국 뉴웨이브에서는 총 20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영국 뉴웨이브를 대표하는 감독들 중 한 명인 토니 리처드슨이 반제도권, 반상업주의를 내세워 영국 프리 시네마 운동의 시발점이 된 작품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1959), 신분 상승을 위해 사랑까지 저버리는 청년의 야망을 그린 '꼭대기 방'(1959), ‘성난 젊은이들세대의 대표 작가인 앨런 실리토의 원작을 바탕으로, 모순된 영국 사회의 민낯을 보여 주는 토요일 밤과 일요일 아침’(1960), 잭 클레이튼이 연출한 고딕풍의 심리 스릴러 걸작 이노센츠’(1961), 노동 계층의 빈곤, 동성애 등 당시 사회적 이슈들을 다룬 키친 싱크 리얼리즘의 대표작 '테이스트 오브 허니'(1961), 청춘의 반항을 단순하지만 명쾌한 질주와 멈춤의 미학으로 담아낸 영국 청춘 영화의 고전작 '장거리 주자의 외로움'(1961), 남녀가 지닌 사랑에 관한 보편적 정서를 섬세하게 조명한 존 슐레진저 감독의 장편 데뷔작 '사랑의 유형'(1962), 영국 영화의 르네상스 시대를 연 프리 시네마 기수인 린지 앤더슨 감독의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이 담겨 있는 욕망의 끝'(1963), 여러 실내 공간을 계급간의 관계로 치환해 계급의 차이와 갈등을 극대화하여 조셉 로지 스타일의 정수를 보여 주는 걸작 하인’(1963), 공상가 빌리를 통해 꿈과 희망을 잃었던 당대 영국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린 빌리 라이어’(1963), 스타덤에 오른 비틀즈의 하루를 모큐멘터리식으로 보여 준 비틀즈: 하드 데이즈 나이트’(1964), 권위와 제도에 저항하는 청년들의 모습을 담아낸 만약에....’(1968), 불안정한 페출리아를 따라가며 폭발하는 물질주의, 베트남 전쟁의 공포 등 미국 사회의 잔혹한 단면을 포착한 영화 페출리아’(1968), 매와 교감하는 소년을 통해 영국 노동 계급의 현실을 담은 켄 로치 감독의 걸작 케스’(1969), 성공을 위해 대도시 뉴욕에 온 시골 청년의 방황기를 적나라하게 그린 미드나잇 카우보이’(1969), 대저택과 소작농의 집으로 대변되는 계급의 차이와 갈등을 이방인인 소년 레오의 시선으로 바라본 고 비트윈’(1971), 사랑의 갈등을 통해 인생의 공허함을 섬세하게 그린 작품 선데이 블러디 선데이’(1971), 회색빛 시대의 좌절과 공허를 괴상하고 신랄한 유머로 그린 브루스 로빈슨의 블랙 코미디 위드네일과 나’(1987), 90년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사람들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의 영화 하층민들’(1991), 하층민과 노동 계급이 겪는 불안한 현재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세기말적 풍경을 냉소적이고 초현실적인 유머로 승화한 네이키드’(1993) 등을 선보인다.

 

키친 싱크대의 시대, 영국 뉴웨이브 2022114()부터 126()까지 (매주 월요일 및 대관 영화제 기간 상영없음) 계속되며, 관람료는 일반 7,000, 유료회원과 청소년 및 경로는 5,000.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1125() 1840이노센츠상영 후 유운성 영화평론가, 1126() 16하인상영 후 박은지 시네마테크 프로그래머의 특별강연도 마련되어 있다. 상세 일정 및 김은정, 김필남 평론가의 시네도슨트 영화해설 일정은 영화의전당 홈페이지 (www.dureraum.org) 참조. (/영화문의/051-780-6080)

 

 

 

다음글 영화의전당, 야외광장 활성화로 시민소통 강화
이전글 영화의전당, 문화예술 직업체험프로그램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