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영화와 비평  > 영화평론가 비평

영화평론가 비평

오디오 해설 영화관



영화에 대한 전문적 식견과 통찰력, 다양한 관점이 돋보이는
'영화평론가' 차별화된 평론을 만나는 공간입니다.
감독과 영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론글은
여러분을 새로운 영화 세상으로 안내할 것입니다.
매월 개봉하는 대중영화와 한국독립영화를 바탕으로 게시되며,
영화글을 통해 들여다본 새로운 영화세상으로 떠나보세요!

영화 <컨버세이션>이 담아낸 대화의 일상성2023-03-02
컨버세이션 스틸

 

 

영화 <컨버세이션>이 담아낸 대화의 일상성

 

송영애(한국영화평론가협회)

 

컨버세이션 포스터

 

 

지난 223일 김덕중 감독의 <컴버세이션>이 개봉했다. 제목 그대로 대화로 가득한 영화를 보며, 여러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영화 안 대화를 비롯해 영화 밖 일상의 대화까지 두루 대화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 대화의 변화기

 

점점 전통 방식의 대화가 사라지고 있다고들 한다. 대화 자체가 사라지는 건 아니지만, 얼굴 마주하고 눈 마주치며 말로 하는 대화가 다른 방식의 대화로 변화하고 있는 요즘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대면 대화는 비대면 대화로 대체되었다. 비대면 대화에는 SNS를 통한 대화의 비중이 크고, 말보다는 글이나 사진, 영상으로 하는 소통을 더 편하게 여기는 경우도 많다. 여러모로 우리의 대화 방식은 바뀌고 있다.

 

방식이 무엇이든, 대화의 중요성은 여전히 강조된다. 그러나 예나 지금이나 대화를 충분히 잘하는 건 쉽지 않다. 서로 다른 사람이 함께하려면 꼭 필요하지만, 또 서로 다르기에 잘 해내기가 만만치 않다. 얼굴을 마주 보고 하든, 전화로 하든, 편지로 하든, 메일로 하든, 카톡으로 하든, 인스타그램으로 하든 누군가와 생각과 감정을 나눈다는 건 보통 일이 아니다. 적응이 필요한 요즘이기도 하다.

 

- 영화 안 대화의 일상성

 

영화 <컨버세이션>에도 다양한 대화가 나온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의 대화도 있고, 처음 만난 사람들의 대화도 있다. 소위 썸타는 대화도 있고. 처음 만난 남과의 어색한 대화도 있다. 또 무슨 사연이 있는지 까칠한 대화도 있다.

 

컨버세이션 스틸

 

얼굴 마주 보고 걸으며, 술 마시며, 커피 마시며 하는 대화도 있고, 전화로 하는 대화도 있다. 전화 속 상대방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아, 혼잣말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이 모든 대화를 통해 극적인 일이 펼쳐지는 건 아니다. 모두 일상의 대화다.

 

그래서 영화를 보며 누군가의 대화를 엿듣는 기분도 든다. 영화 밖에서도 누군가의 대화를 의도치 않게 듣게 되는 경우가 있다. 카페나 버스, 지하철 등 공공 공간에서 어디선가에서 들려오는 대화의 내용은 의외로 다양한데, 불쾌해질 때도 있고, 뒷이야기가 궁금할 때도 있고, 공감할 때도 있다. 영화 <컨버세이션> 속 대화가 딱 그렇다.

 

- 15장면, 16컷에 담긴 대화의 현실성

 

컨버세이션 스틸

 

영화 <컨버세이션> 속 대화는 낯설지 않지만, 그 대화를 영화화한 방식은 낯설다. 영화에 등장하는 15개의 대화가 16개의 컷에 담겼기 때문이다. 첫 장면만 2개의 컷이고, 나머지 장면은 모두 1장면 1컷으로 촬영되어, 10분 안팎의 대화가 편집 없이 길게 담겼다. 즉 관객은 두 사람 혹은 세 사람의 대화를 생략이나 건너뜀 없이 온전히 듣게 되는 것이다.

 

카메라의 움직임도 최소화되어 관객은 한쪽에서 가만히 엿보는 혹은 지켜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몇 번 카메라가 움직이기도 하는데, 모두 인물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라, 엿보는 느낌은 더 강화된다.

 

카메라와 인물의 거리감 역시 엿보거나 지켜보는 느낌을 다시 한번 강화한다. 대화하는 인물은 대부분 화면 중앙에 자리하고, 좀 멀리 떨어져 있다. 거실이나 택시 같은 좁은 공간에서는 가까이 보이지만, 현실 공간의 거리감이다. 엿보는 대화다 보니, 그들의 표정까지 보기는 힘들다. 영화적 공간과 시간이 모두 현실성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 소음과 생략이 제공하는 상상의 퍼즐

 

컨버세이션 스틸

 

대화 주변 소음도 현실성을 배가시킨다. 거리 소음, 카페 안 소음, 등산길 새 소리 등까지 다양한 소리가 들려오는데, 덕분에 영화 속 공간은 확장된다. 아파트 외부 계단에서 대화하고 있는 인물을 지켜보고 있지만, 들려오는 소음 덕에 주변의 거리 풍경이 보이는 것 같다. 또 들려오는 음악 덕에 근처에서 버스킹 중인 음악인들의 모습도 상상된다.

 

편집 없이 현실적 시간과 영화적 시간을 일치하고, 공간에 따른 거리감으로 관객을 영화 속 적당한 곳에 위치시켜 그들의 감정에 깊이 공감하긴 힘들다. 그래도 상상의 나래는 조금 펼치게 해준다.

 

상상의 나래는 장면과 장면 사이에서 퍼즐을 맞추는 묘미로 이어진다. 15개의 장면 즉 대화와 대화 사이에서 시간이 건너뛰고, 순서가 바뀌어, 이 영화에는 10여 년의 시간이 담겼다. 15개의 대화를 듣다 보면, 사이사이 생략된 사연은 짐작할 수 있다. 나름의 반전도 있다. 지나칠 정도의 현실성과 상상이 공존하며 재미를 제공한다.

 

- 극한 직업 배우와 감독, 그리고 관객

 

컨버세이션 스틸

 

이 영화의 마지막 자막의 시작은 간결하다. 각본, 연출, 제작, 편집은 모두 감독이 했고, 이어서 촬영과 동시녹음 담당자의 이름이 보인다. 긴 호흡으로 인물을 따라가는 카메라, 긴 대화를 잡아낸 녹음, 그리고 그 긴 대화를 해낸 배우 모두에게 이 영화는 도전이었을 것이다.

 

관객에게도 도전이다. 등장인물의 이름, 얼굴조차 구분하기 쉽지 않은 영화에 집중하기 힘든 순간도 만나게 된다. 물론 이 지점이 이 영화의 매력이기도 하다.

 

영화 <컨버세이션>를 보고 나서 대화에 관한 대화를 나눠보면 좋을 것 같다. 혹은 그동안의 대화 생활을 돌아보는 것도 의미 있을 듯하다. 영화 안 대화를 지켜보며, 나 자신과 주변에 대한 여러 생각과 느낌이 스치는 영화 <컨버세이션>이다.

 

다음글 혹은 'ART' 혹은 'RAT'
이전글 영화를 향한 <바빌론>의 직유법